728x90
반응형
한 나라의 화폐와 외국 화폐와의 교환 비율을 '환율'이라고 한다. 환율은 각 나라의 경제 사정에 따라, 국제 경제의 흐름에 따라 매일 조금씩 바뀐다.
기축통화인 달러의 강세와 약세를 한 번 살펴보자. 달러의 가치가 올라간다는 것은(우리나라와 비교했을 때) 우리 나라 돈을 더 줘야한다는 것이다. 즉 1달러에 1,000원이었는데 지금은 1,100원 이라는 의미로 대충 해석해보는 것. 달러의 가치가 올라간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의 화폐가치가 달러에 비해 떨어진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달러가 기축통화이기 때문에(달러가 강세이거나 WON이 약세면) 미국에 수출을 하는 기업은 유리하다. 달러를 WON으로 환전할 때 돈이 더 들어오기 때문이지. 하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미국에서 수입을 하는 기업은 유리하다.
환율은 외환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규모, 우리나라 화폐의 규모가 있다. 둘은 각 규모는 경제활동에 의해 늘었다 줄었다 한다. 예를 들어 수출을 많이 하거나, 우리나라로 여행을 오거나, 외국인 투자가 늘어나면 외환 공급이 늘어나 규모가 증가하기 때문에 환율이 떨어지게 된다(우리나라 화폐의 규모는 일정하지만 외환의 규모는 커지기 때문에 상대적인 것이다).
나라 간의 상대적인 금리 차이로 인한 화폐의 쏠림으로 인해 환율이 조정받기도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