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베이스(기초)/공부 7

단타

*단타 종목군 뽑는 행위(미리 봐둔 종목이 꼭 움직이지는 것은 아니지만 확률이 있다. 준비하다 보면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다.) 1. 장 전 2. 장 중 = 실시간 종목 조회(양날의 검) -> 난이도가 높다 중요도 : 1 > 2 -변동성이 큰 종목(상승추세를 타고 있는 강한 종목) -그날 사서 그날 판다 = 그날 모멘텀이 강한 종목을 골라야한다. -경험(대응) + 감각 + 돈이 어디로 흘러가는지 빠르게 캐치하는 숙련도 -전일대비등락률상위 + 검색식 -반사이익 -여러 종목들 중 재료의 크기를 계속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현 재료의 크기가 어떠한지 앞으로 어떨지 정리를 해놓아야한다는 것이다. *단타 하는 사람들이 집중해야하는 시간대, 비중을 더 실을 수 있는 이유, 손익비가 높은 시간대가 있다 *..

원전, 자동차, 2차 전기 관련주에 대한 생각

1. 원전 현 정부가 도호쿠 대지진 이후, 원전 사고의 위험성을 알리며 탈원전 정책을 펼친 것은 당시로서는 최선의 행동이었다. 지금도 냉각수 방출에 대한 공포가 끝나지 않았다. 또한, 원전 폐기 움직임은 당시, 거의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이슈(당시 미국도 원전 16기를 조기 폐쇄하겠다는 발표, 원전의 직접적인 피해국인 일본은 물론이고 유럽에서도 영국을 제외한 프랑스나 독일, 그리고 캐나다 등이 원전 폐기론에 동참) 하지만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서는 원전이 필수인 것을 각국은 깨달음 -우선 미국은 원전 16기 폐쇄 계획을 완전 백지화하고, 지난 2019년엔 오히려 을 통과. -지난 주에는 가 약 15년 전에 설립한 와 버크셔해서웨이 소유의 전력회사 가 나트리움 원자로(소듐원자로, SMR)를 위한 협력을 시..

종목 선정과 방법(포인트)

1. 주식으로 돈을 벌려면 종목 선정이 가장 핵심이다(종목 선정 > 기법) -좋은 종목을 찾았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했을 시에 버틸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모르는 것은 곧 '공포심'이기 때문 -종목에 대한 확신은 내가 공부가 되었을 때만 가능하다. 지인이 추천해준다고 해서 나의 목돈을 거기다 넣는 사람은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닌 투기를 하는 것이다. 2. 종목 선정 방법의 3대 요소 : 재료(테마), 차트패턴, 거래대금(거래량) ① 재료 -재료 : 이슈가 되는 것들을 파악하고 그 테마가 가지고 있는 재료의 크기를 판단해야한다. 이 판단은 직접 찾고 경험해보며 익혀야하는 부분이다. -눌림스윙매매 : 마켓트레이딩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 말은 무엇이냐면 테마의 순환매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 주식시장에 테..

프로그램 매매에 대해

1. 프로그램 매매란 :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매매 2. 프로그램 매매 : 차익거래, 비차익거래 -차익거래 : (현물 기준)매수 차익거래, 매도 차익 거래 -> 선물과 현물의 가격차이를 이용한 거래 -비차익거래 : 현물만 거래대상 -> 현물의 현재가격에 따른 거래 -차익거래는 시장의 방향성과 관계가 없다. -비차익거래는 시장과 종목에 대한 방향성과 일치해서 움직인다.

수요와 공급

공급이 늘어나게 되면 수요는 그걸 따라가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것은 사이클을 탄다. 그래서 종목마다 사이클이 존재한다고 괜히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이번 코로나 사태때 경기가 위축되고 수요는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공급도 같이 줄이게 되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시기에 맞추어 늘어나는 수요에 대응을 하지 못한 기업들 같은 경우에는 뒤늦게 공급을 늘리게 되었다. 하지만 공급을 늘리고 싶다고 마음대로 늘릴 수 있는 게 아닐 것이다. 거기에는 노동력, 원자재, 운반 및 유통 등 공급을 늘리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물론 이 시간을 계산하고 얼추 추측해 어느정도 맞추면 잘하는 것이지만 쉽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 원래는 도매업체를 통해 소매업체에게 판매를 했지만 이제는 코로나 시대에 이어 비대면 온라인..

가치의 방정식

-EPS = EPS/BPS x BPS = ROE x BPS -ROE = EPS/BPS → 미래에 수익을 낼 능력 =ΔBPS/BPS → 주주자본(기업) 성장의 속도 -BPS → 회사 설립 이후 지금까지 기업이 조성한 자본의 결과 (과거의 누적 성과) -ROE → 기업의 미래에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능력(미래에 나타날 잠재 능력) 현재의 순이익은 항상 “EPS = ΔBPS”를 통해 자본이 된다. 다만 현재 순이익이 미래의 수익 능력으로 해석될 때 한하여, ROE를 통해 기업 수익 가치를 결정한다. 기업의 이익(가치)의 크기는 과거에 창사 이래 이룩한 자산(BPS, 규모)에 미래에 수익을 낼 능력(ROE)을 곱하여 얻는다. -EPS = BPS x ROE -기업의 가치 증가(변화) ΔEPS = Δ(BPS x 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