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식 회전율이란? → 사고, 팔고가 얼마나 잘 이루어지느냐인데 보통 높을수록 좋지만 꼭 그렇지는 않으므로 동종업종과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총자산 회전율 : 기업이 투자한 자산에 의해 생기는 매출액을 측정하는 지표 → 높을수록 자산을 활용한 매출액이 높다는 것. 효율적이다.
(총자산 회전율 = 매출액/총자산)
-자기자본 회전율 : 자기자본의 회전속도를 의미. 높을수록 좋음
-순운전자본회전율 : 순운전자본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영업활동에 필요한 자금
(순운전자본회전율 = 매출액/순운전자본)
높아지는 추세면 기업의 현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의미.
-유형자산 회전율 : 높을수록 유형자산의 이용도가 양호. 낮을수록 유형자산의 이용이 불충분하거나, 유형자산의 과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
(유형자산 회전율 = 매출액/유형자산)
-매출채권 회전율 : 높아지는 추세일수록 효율적인 영업을 수행하는 중이라 판단
(매출채권 회전율 = 매출액/매출채권)
매출채권이란 기업이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채권으로, 외상매출금과 받을 어음이 해당.
-재고자산 회전율 :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의 판매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
높을수록 효율적인 영업.
(재고자산 회전율 = 매출액/재고자산)
-매입채무 회전율 : 높아지는 추세일수록 기업의 지급능력이 좋아지고 있다는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