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통화정책 : 연준, 한국은행이 주도
-재정정책 : 기획재정부(재무부)가 주도
돈의 양이나 돈의 가치를 움직여 경제를 움직인다 -> 양적완화, 지급준비율, 금리인상(인하) 등
우리나라나 미국의 경우에는 중국과 다르게 일반적으로 돈의 양을 조절하지 않는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자본주의 : 양을 조절할 수는 없으니 가격을 조절
-사회주의 : 양을 직접 조절해서 문제를 해결 -> 쌀이 모자라면 배급을 줄인다
중국은 우리나라랑은 다르게 비은행(제2금융권)은 만드려하지 않고 은행(제1금융권) 중심의 금융정책을 쓴다 -> 그래서 중국이 CBDC(디지털화폐)를 발행해 은행의 관리감독을 강화시켜나가겠다는 의도
통화정책에는 '양적인 조절정책, 가격의 조절정책' 2가지가 있는데.....
중국같은 경우에는 양적인 조절정책 사용
미국과 한국은 가격의 조절정책 사용
M * V = P * Y(T)
금본위제 : 금의 유입 = 통화량 증가
지금은 금본위제를 채택하고 있지 않다
시장 금리가 정책 금리하고 비슷하게 움직이도록 조절을 해주는게 RP정책이다
728x90
반응형
'베이스(기초) > STEPS(경제야 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번외편) [경제야 놀자 5편] (0) | 2021.08.01 |
---|---|
환율(기본편) [경제야 놀자 5편] (0) | 2021.08.01 |
GDP와 고용 [경제야 놀자 3편(심화편)] (0) | 2021.07.15 |
한국의 주요 경제지표 [경제야 놀자 2편] (0) | 2021.07.11 |
1편 : 미국경제지표 보는법(2부) (0) | 202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