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윌리엄 오닐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

제12장 : 분산 투자와 장기 투자, 신용 투자와 공매도

한서후 2021. 7. 13. 16:28
728x90
반응형

*주식 투자를 하겠다고 결정했다면 단순히 어떤 주식을 매수(종목선정)할 것이냐는 문제 외에도 생각해봐야할 것들이 참 많다.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운용해나갈 것이며, 얼마나 많은 종목을 매수할 것인지, 또 어떤 식으로 매매할 것이며, 어떤 투자 상품이 나은지 등을 정해야 한다.

 

*얼마나 많은 종목을 보유할 것인가?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 많은 분야에 분산투자하면 할수록 한 분야도 제대로 알지 못하게 된다. 성공하는 투자자는 수십 개 종목에서 조금씩 이익을 내기 보다는 최고의 주식 한 두개로 큰 돈을 번다.

-2만~20만 달러 : 종목은 4~5개로 한정해라. 만약 다섯 종목에 투자하고 있는데 상황이 바뀌어 새로 매수하고 싶은 종목이 나타났다면 반드시 현재 보유한 종목 가운데 수익률이 가장 떨어지는 것을 팔아야 한다.

-5000~2만 달러 : 3종목 이내가 적당하다.

-3000달러 : 두 종목으로 줄여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중요 포인트는 자신의 운용 능력을 벗어나면 안 된다.

 

*매수하는 기간은 얼마 동안이 적당한가

-일정 기간에 걸쳐 한 종목을 사들이는 것도 괜찮다. 평균 매수 단가 이후 새로이 모양을 형성한 뒤 새로운 매수 지점이 나타나면 추가 매수했지만, 추가 매수 물량을 제한함으로써 매수 단가는 그리 높아지지 않았다.

-이런 방식은 매우 위험하고, 고도의 집중을 요하므로 초보자들은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강세장에서 포트폴리오를 집중해서 운용하는 한 방법은 당신이 맨 처음 매수한 가격보다 2~3% 상승할 때마다 소량씩 추가 매수하는 것이다. 너무 많이 상승한 종목을 추격 매수해서는 안 된다. 

-추가 매수 방식을 사용하면 결국 자금을 소수 정예 종목에 집중할 수 있다.

 

*장기 투자를 해야 하나?

-포트폴리오를 집중해서 운영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이제 장기 투자를 할지 아니면 자주 매매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하지만 보유 기간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먼저 말해두겠다.

-중요한 것은 최고의 주식을 정확히 선정해 정확한 타이밍에 매수한 다음에 시장 상황에 따라, 혹은 매도원칙에 따라 팔아야 할 시점에 정확히 파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3개월 만에, 6개월, 1년 혹은 3년 이상 보유한 뒤 매도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를 항상 좋은 주식들로 채우고 시장 상황에 맞춰야 한다.

 

<매도 사인(차트를 사용하지 않는 매수 후 보유 전략은 얼마나 위험한가?)>

-10주 연속 이동평균선 하회

-상대적 주가 강도 밀림

-조정 후 주가가 상승하며 거래량이 감소

-저점이 쐐기형 상승

-주가 하락 시 거래량 급증

-거래량은 급증하지만 주가는 횡보하거나 하락

 

당신이 차트를 통해 종목의 주가와 거래량을 면밀하게 관찰하면 반드시 보상이 따른다.

 

*데이 트레이드를 해야 하나? - 고난이도 영역

-늘 피하라고 하는 투자 방식이 바로 데이트레이딩이다. 아주 짧은 시간의 주가 움직임만으로 거래하다 보니 좀 더 긴 안목에서 바라봐야 하는 기본적인 추세를 읽지 못하기 때문이다.-너무 빨리 돈을 벌려고 하지 말라. 로마는 결코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았다.-때로는 5분봉 차트에서 손잡이가 달린 컵 모양과 똑같은 형태가 발견된다. 강세장에서, 그것도 기술이 좋다면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지만 이렇게 하려면 많은 시간과 경험, 노력이 필요하다.

 

*신용을 쓰는 것이 좋은가?-투자를 배워나가는 기간인 처음 1~2년은 자기 돈만 갖고 투자하는 것이 훨씬 안전하다.-주식시장에서 충분한 경험을 쌓으려면 2~3년은 필요하다.-신용은 강세장일 때만 쓰는 것이 낫다.-윌리엄 오닐은 고수일 때 거의 항상 신용을 썼다.-마진 콜에는 절대 응하지 말라 : 돈을 더 입금시키지 말고 보유 주식을 매도해라. 마진콜을 당한다는 것 자체가 당신이 잘못하고 있다는 증거

 

*공매도를 해야 하나?-공매도는 사실 아는 사람이 거의 없고, 성공하는 경우도 극히 드물다는 점에서 자신에게 정말 맞는 것인지 신중하게 생각해봐야 한다.-아주 적극적이고 충분히 단련된 투자자라면 제한된 범위 안에서 공매도를 고려해볼 수 있다.-공매도는 손실이 무한대이다.-효과적인 공매도 시점은 당연히 새로운 약세장으로 기울기 시작할 때이다. 1. 주요 지수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2. 천정을 친 주식을 골라야 한다.-공매도에서 타이밍 = 생명-비교적 짧은 손절라인-강세장에서는 공매도는 절대금지-발행주식 수가 적은 소형주는 공매도 절대금지-공매도할 종목은 하루 평균 거래량이 500만~1000만 주는 넘어야 한다.

 

공매도하기 가장 좋은 주가 패턴 예 2가지1. 헤드 앤 숄더 천정-> 주가 패턴에서 오른쪽 어깨는 반드시 왼쪽 어깨에 비해 약간 낮아야 한다.-> 공매도 하기에 최적의 타이밍은 오른쪽 어깨에서 주가가 세 번째 혹은 네 번째 상승 되돌림이 막 끝났을 때다. 왜냐하면 이러한 반등이 전고점을 뛰어넘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매도 적기는 거래량이 늘면서 주가가 하락 반전해 10주 이동평균선 아래로 떨어졌지만 저점을 경신하지 않았을 때다. 저점을 경신했을 때는 대부분의 트레이더가 알아채므로 너무 늦다. 보통 이러한 주식들은 분기 순이익 증가율이 둔화되거나 순이익 자체가 감소하고 있을 수 있다.-> 상대적 주가 강도 역시 최소 20주에서 34주까지 계속 하락해야 한다.

 

2. 손잡이가 달린 컵 모양이나 다른 주가 패턴을 세 번째 혹은 네 번쨰로 시도하면서 모양 형성이 실패한 게 분명한 경우-> 전제 조건 : 거래량이 늘어나고 있어야 하며, 손잡이 부분 아래로 주가가 떨어지기 시작해야 한다.-> 상승추세를 타고 있는 주식을 공매도 해서는 안 된다.

 

<요약> 

분산 투자는 좋지만 너무 과도해서는 안 된다. 제대로 선정한 소수 종목에 집중하고, 각 종목을 얼마나 오랫동안 보유할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판단하라. 투자 경험이 많다면 신용을 써도 괜찮지만 그에 따라 확신이 서지 않는 한 공매도를 해서는 안 된다. 주가 차트를 활용해 최고의 주식과 최적의 타이밍을 찾아내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