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후 2021. 7. 18. 21:19
728x90
반응형

갭상승폭이 클수록 상한가 진입확률은 높지만 매수 타점 잡는 어려움이 있고 허매수 세력이 개입한 경우 하락폭이 커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갭 상승이 7%이상 뜬 종목은 조심해야 한다.

진짜 매수세일지 허매수일지는 잘 구분해야 한다는 소리이다.

 

이상적인 갭 상승폭은 3~5% -> 여기서 매수 물량이 적을수록 좋고 시초가 갭 상승시 거래량이 터지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세력이 털기 어려운 상황이 나오기도 해 세력이 평단가를 낮추기 위해 매물을 먹으면서 올리게 된다.

 

갭 상승을 유도한 종목같은 경우에는 허매수가 끼어있는 경우 매도 물량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갭 상승 종목에 거래량이 20% 수준을 상회하면 장중 흐름이 좋지 않았던 경우가 있다. 10%미만이면 not bad

 

고수와 초보의 차이는 타점의 차이이다. 얼마나 잘 매수와 매도를 하느냐

 

시초가는 세력들이 만든 가격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한가 세력들의 물량매집패턴은 계단식 상승패턴에서 나타나는데 시초가 지지 이후 점진적으로 저점을 높이면서 상한가에 근접하는 종목은 비록 저점대비 상승폭이 크더라도 위험부담이 덜하다.

분봉 계단식 상승폭의 2가지 조건

1. 얕은 눌림목

2. 단기 고점에서 거래량이 터지면 안된다.

 

전고점을 앞에 두고 2번 때렸는데도 안 뚫리면 하락추세의 강함을 의미하고 전저점을 2번 때렸는데도 뚫리지않고 지지하면 상승추세의 강함을 의미한다는 것

반대로...

전고점을 앞에 두고 2번을 때렸는데도 하락추세가 아니라면 뚫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고 전저점을 2번 때렸는데도 상승추세가 약하다면 뚫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